안녕하세요 에펙 레시피입니다!
이번 레시피는 "충돌로 부서지는 텍스트" 레시피입니다.
단축키[Ctrl+N]로 FHD사이즈로 컴프창을 만들어주세요
컴프창을 선택하고 단축키[Ctrl+T]로 텍스트를 입력해 주세요
Align를 이용해서 중앙에서 맞춰주세요
단축키[Ctrl+Y]로 솔리드레이어를 생성해 아래 배치해주세요
단축키[Ctrl+5]로 Effects & Presets창을 열어 Drop Shadows 검색해서
텍스트 레이어에 적용해주세요
Distance 값을 30, Softness는 10으로 입력해주세요
텍스트 레이어를 단축키[Ctrl+D]로 복사해 주세요
복사된 레이어를 15프레임 뒤로 미뤄주세요
아래 텍스트 레이어를 15까지 줄여주세요
다시 위에 있는 텍스트 레이어를 선택하고 Pen Tool을 이용해서 부서질 영역을 그려주세요
단축키[M]를 눌러 Mask 옵션을 열고 Inverted에 체크해서 마스크 영역을 반전시켜주세요
텍스트 레이어를 단축키[Ctrl+D]로 복사해 주세요
단축키[M]를 눌러 Mask 옵션을 열고 Inverted를 체크를 해제해 주세요
작업바를 2초로 옮겨주시고 텍스트 레이어 3의 Distance 값과, Softness 애니메이션 키를 줍니다
그리고 작업바를 15프레임으로 옮겨주시고 둘 다 0으로 만들어주세요
0초에서 2초까지 그림자가 생기는 애니메이션입니다.
단축키[Ctrl+5]로 Effects & Presets창을 열어 CC Pixel Polly 검색해서
텍스트레이어 3의 Drop Shadow 이펙트 위에 적용해주세요
Force 값은 5로 퍼져나가는 속도 감소, Gravity 0으로 떨어지는걸 없애주세요
Spinnig값은 90도 정도로 파편의 회전량을 줄여주세요
Froce Center를 텍스트 레이어 아예 바깥에 위치해주세요
Grid Spacing 를 20정도로 파편의 크기를 조금 줄여줄게요
Object 옵션을 Textured Square값으로 바꿔주시는데 취향입니다.
텍스트 레이어 3을 단축키[Ctrl+D]로 복사해 주세요
다시 텍스트 레이어 3을 선택하시고 옵션을 바꿔주겠습니다.
Spinnig값은 190도 정도로 파편의 회전량을 더 늘려주세요.
Direction Radomness값은 50%, Seed Randomness값은 100%로 바꿔줍니다.
Grid Spacing 를 3정도로 파편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 줍니다.
Object 옵션을 Textured Polygon값으로 바꿔서 조금 더 작은 느낌을 주겠습니다
단축키[Ctrl+6]로 텍스트 설정 창을 열고 Swap Fill and Stroke값으로 바꿔줍니다
Stroke두께를 6~8정도 주셔서 적당한 파편 양을 조절합니다
단축키[Ctrl+5]로 Effects & Presets창을 열어 Shatter 검색해서
처음에 복사된 텍스트 레이어 2에 적용해 주세요
이 이펙트 역시 Drop shadow 위로 적용하기 위해서 옮겨주세요
View를 Rendered로 바꿔주세요.
>Shape 열고 Pattern을 Glass로 바꿔주세요.
Repetitions값을 20으로 늘려 조각 수를 늘려줍니다.
여기서 두께는 필요없으니 Extrusion Depth 값을 0으로 만들어줍니다.
Origin 위치를 왼쪽 글자에 찍어서 충돌 위치를 잡아주세요.
> Force 1 옵션에서 Strength값을 0.02 줄여 주시고
>physics 옵션에서 >Gravity를 0으로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주세요
이제 충돌체를 만들어 줍니다
컴프창을 선택하고 단축키[Ctrl+T]로 텍스트를 입력하고 크기와 위치를 잡아주세요
단축키[P]를 눌러 15프레임에 Position 값에 애니메이션을 주고
0초로 작업바를 옮겨주시고 50% 텍스트 레이어를 화면 밖으로 옮겨주세요
단축키[F9]를 눌러 애니메이션 키를 베지어로 만들어주세요.
0초에 잡히 키만 선택해 주시고 [Alt+더블클릭]해주세요.
오른쪽만 100%로 입력해주시고 OK를 눌러주세요.
작업바를 5초로 옮겨주시고 부서진 텍스트 안쪽으로 조금 더 이동해 줍니다
지금은 충돌하면 뒷쪽같이 같이 깨지니 시간차를 주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단축키[Ctrl+Y]로 솔리드레이어를 생성해 주세요
단축키[Ctrl+5]로 Effects & Presets창을 열어 Gradient Ramp 검색해서
솔리드레이어에 적용시켜 주시고 레이어를 배경 솔리드 위에 배치해 주세요
End of Ramp 위치를 텍스트 왼쪽 끝에 지정해주세요
Start of Ramp 위치는 화면 오른쪽 끝에 높이를 맞춰서 옮겨주세요
이제 그라데이션이 적용된 솔리드 레이어 눈을 꺼주시고
Effects & Presets창에서 Time Displacement 검색해서
단축키[Ctrl+Alt+Y]로 Adjustment Layer를 생성해 적용해 주세요
Time Displacement Layer 옵션에서 그라데이션이 적용된 솔리드레이어를 선택합니다.
뒤에 있는 옵션은 Effects & Masks로 바꿔주시면됩니다.
Max Displacement Time으로 딜레이를 0.2로 입력합니다.
부서지는 효과를 텐션을 위해 단축키[Ctrl+Shift+C]로 컴프로 묶어주세요
Effects & Presets창에서 Timewarp 검색하고
텍스트 레이어에 적용해 주세요
Speed 값을 100으로 해주시면 기존 속도로 재생됩니다
작업바를 1초 19프레임에 옮겨주시고 애니메이션 키를 주세요
단축키[U]를 눌러 애니메이션 키를 확인해 주실수 있습니다.
작업바 1초 26프레임에 옮겨주시고 Speed 700를 올려주세요.
작업바 2초 7프레임에 옮겨주시고 Speed 30를 올려주세요.
슬로우 모션 텐션을 넣으실때 기존 소스가 되는 영상이 충분히 길어야 좋습니다:)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에도 적용해보셔도 좋을것 같아요
혹시 포스팅으로 알기 어려우신 분들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